목록야후 (8)
Saltern of Knowledge
▶ `뉴스캐스트` 선정성·낚시기사로 도배 대략 20글자 이내에 클릭을 일으키려면 낚시 제목 외에는 방법이 없지요. 정직하고 건전한 기사 제목으로 뉴스캐스트에 올리면 아무도 클릭하지 않을 겁니다. 딜레마인거죠. 정직하면 클릭이 없고, 낚시하면 불만을 얘기하고.. 그런데 어차피 인터넷을 통한 상당수의 뉴스 소비가 스포츠나 연예 기사 위주인지라 요즘 뉴스를 본다는 건 정보를 본다는 게 아니라 그냥 시간 때우고 노는 개념으로 바뀐 듯 합니다. 놀면서 낚이는 거니까.. 그냥 낚이는 것도 하나의 재미로 보면 어떨까요? 낚이면 낚인 기사에 댓글로 기자한테 화풀이도 하고 말이죠.. ^^; ▶ '명가녀' 이슈로 바라본 바이럴 마케팅의 허와 실 몰랐는데 '명가녀' 라는 동영상이 있었군요. '명품을 가는 여자'라는 말이라는..
▶ 온라인 쇼핑몰의 검색 포털화(?) 쇼핑몰들이 상품을 판매하는 장소만이 아닌 광고 플랫폼으로도 실적을 올리고 있다고 합니다. G마켓의 2008년 매출에서 거래 수수료 매출과 비거래 수수료 매출이 거의 비슷해 졌다는군요. 비거래 수수료는 광고를 팔아서 올린 수익일텐데요.. CM들이 업체들을 쥐어짜서 광고를 유치한다는 얘기도 있더군요. 어쨌든 엄청난 수의 사람들이 드나드는 곳이니 저렇게 광고도 팔 수 있게 되버리는군요. 묘합니다. 광고해서 사람 모으고, 사람 모아서 광고 팔고. 다시 광고해서 사람 모으고.. 무한 반복인가요? 그래도 파는 광고의 액수가 사는 광고의 액수보다 크면 남는 장사인거죠. ▶ 내가 트위터를 망설이는 6가지 이유 비슷한 고민을 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솔직한 이야기로 zb5tea..
▶ 일본 네이버, "야후 나와!" 내용을 읽다보니 NHN은 구글로, 야후는 네이버로 바꾸면 몇년 전의 국내 상황을 연상할 수 있더군요. 그러니까 이 기사의 제목을 '구글코리아, "네이버 나와!"'라고 바꾼다면 말이죠. 그런데 지금 구글코리아와 네이버가 어떤 상황이더라.... ▶ [내 정보 방어 가이드④]'먹튀' 웹하드 주의보 먹튀, 악성코드, 개인정보, DDoS, 저작권... 이제 웹하드는 공공의 적이 되버렸습니다. 온라인의 모든 나쁜 것들은 모두 가지고 있는 악의 축으로 규정짓고 있군요. 향후 웹하드 업체들은 이 상황을 어떻게 돌파할까요? ▶ 구글 vs MS 10개 사업서 경쟁 e-바닥에 기반을 둔 회사들인지라 시작점은 달랐어도 결국은 같은 분야에서 경쟁하게 되는 건 당연하다고 보여지네요. 초기에야 가..
블로그 포스트를 풍요롭게 할 수 있는 Yahoo! Shortcuts와 광고 수수료를 주는 링크프라이스의 개인미디어에 적용 프리미엄 링크는 은근히 배다른 형제들. 링크프라이스가 좀더 장기적 관점을 가지고 광고에 조금만 덜 집중했다면 좋았을텐데... (야후 링크프라이스 자동링크 사용성 정보조합) 2008-01-15 16:41:14이 글은 zb5team님의 2008년 1월 15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프로젝트중인 IT근무자는 노동자가 아니다. 왜 위대하신 갑님은 Open을 5월 2일로 잡는걸까? 오후 12시 16분컨텐츠에 대한 투자를 소홀히 한 댓가 오후 2시 24분메이저 포털 뉴스 쪽이 조용한 이유를 삐딱하게 바라보자면... 자기네들이 기사를 적극적으로 노출하지 않아도 자신들의 검색엔진을 통해서 기사 노출에 버금가는 hits와 이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게다가 괜한 책임공방도 피해가고 말이다. 오후 3시 9분디지털시대에 적응 못한 우리는 이제 이런 이별 코치까지 받아야 하는구나. 오후 3시 12분음란 UCC 필터링 기사에 등장하는 동영상 필터링 내용들은 대부분 '개발키로 했다, 앞두고 있다, 예정이다' 뿐. 실제 팩트는 네이버가 수작업으로 270명의 모니터링 인력을 운영한다는 것. 바꿔 ..
SI 업체가 게임 퍼블리싱을 한다고 해서 왜 시작하는지 의아했는데 끝내 접는구나. 그룹 내에서 게임사업 관련하여 교통정리를 한다는데 이게 폭탄돌리기가 될 것인지, 아니면 주도권 경쟁이 될 것인지.. 오전 9시 18분야후! 거기걸스 5기 모집 이벤트 페이지에서는 '여대생'이라는 것을 강조하지는 않지만 보도자료에서는 대놓고 강조를 한다. 여대생, 거기... 어쩐지 므흣한 느낌이 드는 건 마케팅 의도일까, 아니면 내가 이상야릇한 것일까? 오후 12시 57분중소기업을 위한 홈쇼핑이라면... '이 놀라운 구성이 39,800원! 잭필드 3종세트!' 같은 것을 얘기하는 걸까? 오후 7시 8분이 글은 zb5team님의 미투데이 2007년 4월 17일 내용입니다.
이런다고 메인 비즈니스 영역이 달라질까? 언발에 오줌누기 수준? 오후 1시 42분방송사가 자신들이 가장 강한 분야인 "쌓여있던 컨텐츠"를 활용하면서 드디어 눈을 뜨기 시작한 것 같다. 가지고 있었으나 가지고 있는 게 아니었던 것들을 컨트롤할 수 있게 되었으니 말이다. 앞으로의 행보에 따라서 국내 동영상 사이트들의 판도가 바뀔 수도 있을 듯. 오후 3시 18분SKcomms가 덜컥 사버린 엠파스가 이제서야 돈값을 하려나? 기대보다는 느린 속도가 아닌지.. 오후 4시 29분야후 멀티미디어 서비스였던 야미의 서비스 중단선언. 서버와 회선 트래픽을 잡아먹는 귀신에 홀렸다가 정신차리고 아무래도 이때가 기회다 싶어서 환호하며 중단하는 느낌이 든다. 주도권을 잡지 못한 상태로 계속 유지하는 것도 일종의 낭비니까 말이다..

최근 야후의 음란물 동영상 사건으로 인한 여파가 펑펑 터지고 있는 상황. 야후 멀티미디어 서비스 야미는 당분간 서비스 중단을 선언했고, 타 포털들도 새우(?) 싸움에 고래등 터질까봐 전전긍긍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여러가지 립 서비스를 내놓고 있다. 이런 와중에 '음란물 방치 사이트도 처벌'이라는 기사가 나왔는데, 여기에 등장하는 내용 중에서 정신이 번쩍 드는 게 있었으니.. 시정명령 조치를 적극 행사하고, 이에 대한 불이행 또는 이행 소홀 시에는 영업정지 등 처벌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물론 '계획'이라 하니.. 최종적으로 어찌될 지는 모르겠지만... 이로 인하여 유저들이 컨텐츠를 등록시키는 현재의 웹 트렌드에 찬물을 끼얹는 '계획'이 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계획'이 지나치게 강화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