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이벤트 (7)
Saltern of Knowledge
최근 포털사이트와 관련된 가장 큰 이슈는 네이트의 검색점유율이 쭉쭉 올라가고 있다는 것이죠. 이제는 네이트의 통합검색 점유율이 10%를 돌파했다고 하는군요. 통합검색점유율의 변화수치를 보면 5.7% (10/12) → 6.08% (10/26) → 7.04% (11/9) → 9.81% (11/23) → 10.23% (12/7) 로 명백하게 상승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수치에서 감안할 것은 프로모션이라는 노이즈입니다. 네이트에서 2009년 11월 30일부터 12월 13일까지 진행하는 시맨틱 검색 이벤트로 인한 인위적인 요소가 저 상승 수치에 들어가 있을 수 있죠. 검색사이트들이 주기적으로 검색 관련 이벤트를 진행하고, 그 이벤트는 대부분 검색 쿼리를 일으키는 방식으로 기획되어 있고, 참여..
1. 아사달 http://asadal.com/ - 회사 개요 : 도메인, 호스팅, 디자인몰, 솔루션몰 등의 서비스를 진행 중. - 삽질 사례 : 2008년 매출액이 76억원이나 되며 150명의 직원이 일을 하고 있지만, 진짜 일하는 직원이 있는지 매우 궁금한 회사. 회원정보에서 이메일 주소를 변경했음에도 불구하고 일주일에 2통씩 꼬박꼬박 발송하는 뉴스레터는 여전히 과거의 이메일 주소로 발송하고 있다. 이메일 변경이 일주일 정도밖에 안됐으면 말도 안한다. 자그마치 3달이 넘은 상황에서 언제까지 가는지 두고 보는 중... 회원들의 개인정보 관리 체계에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짜증 포인트 : 사이트의 배너를 봤더니 '홈페이지도, 쇼핑몰도 아사달이 만들면 다르다'는 멋진 슬로건을 내밀고 있다. 뉴스레터..
모닝365, 체리야닷컴과 바바클럽 이상은 SKT의 장바구니 목록입니다. 오후 2시 8분라면 1만개에 이어 소주 1만병이라니... DC 자체를 좋아하지는 않지만 나름 DC 스럽게 운영하는 것을 보면 가끔 감탄사가 나온다. 오후 3시 11분이 글은 zb5team님의 미투데이 2007년 9월 11일 내용입니다.
블로그 검색엔진을 표방하고 나온 나루 (naaroo.com)에서 이번에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나루 이벤트는 [나루 사용백서]라는 주제로 글을 써서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후 트랙백, 덧글, 이메일, 이렇게 3가지 방식을 통해 응모하게 되어 있다. 단, 펌글이나 글자수가 기준에 못미치는 300자 이하일 경우에는 제외된다고 한다. 그런데 2007년 6월 18일부터 시작한 이벤트임에도 불구하고 2007년 7월 3일 현재를 기준으로 43개의 트랙백과 31개의 댓글이 달렸다. 이벤트 마감이 2007년 7월 9일인 것을 생각하면 상당히 암울한 참여라 하겠다. 솔직히 이정도의 참여도라면 글자수가 300자가 안된다고 해도 그냥 뽑아줄 확률이 크지 않을까 생각될 정도다. 예전에 서명덕 기자가 진행한 이벤트와 상대..
LG 파워콤이 2007년 인턴사원을 모집해서 '여름방학 기간인 7월2일부터 8월24일까지 8주간 현장경험을 쌓게할 예정'이란다. 혹시 이번 여름에도 여기저기 아는 사람들의 전화를 받게 되는 걸까? LG 파워콤이 뭘 한다고 하면 그저 무섭다. 이런 게 선입관이리라. 오전 10시 53분사직서 쿨하게 쓰는 법이라는데.. 너무 이상적인 사직서 제출법이라서 우리나라 현실과는 초큼 먼 얘기구나. 그나저나 우리나라에 몇사람 없는 일간지 소속의 음악전문기자인 이장직 음악전문기자가 이런 기사를 다 쓰다니.. 역시 음악산업이 불황인가보다. 오후 1시 35분온라인몰이 단골 고객을 우대한다는 제목의 기사를 아무리 눈을 까뒤집으며 읽어봐도 단골고객에 대한 실질적인 우대 혜택 따위는 찾아볼 수 없었다. 그냥 이벤트 한다고 했으면..
블로그 전문검색 나루에서 최근 당신의 블로그 발견 지수는? 이라는 간단한 설문을 해서 여기저기 퍼뜨리고 있더군요. 어차피 이런 것들은 정해진 기준도 없고 그저 잠시의 놀이 수준이라는 것을 충분히 이해합니다. 궁극적인 목적 역시 재미를 통한 마케팅이라는 것도 짐작합니다. 하지만 조금만 더 세심하게 준비를 했으면 보다 많은 유저들을 만족시킬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군요. 5번째 질문 : 당신은 블로그의 RSS 기능을 활용하고 계십니까? 1. RSS가 뭐죠? 처음 들어봅니다. 2. RSS를 통해 제 블로그를 구독하는 블로거들이 조금 있습니다. 3. 제 블로그를 누군가 정기적으로 구독하는 것은 원치 않아요. RSS 비공개로 설정해 놓았습니다. 4. RSS를 적극 활용합니다. 방문자 대부분이 RSS리..
내 기억속의 (아마도 1998년 즈음) 옥션 초기 컨셉은 C2C, 즉 '안쓰는 물건 내다 팔기'였다. 내게는 필요없는 물건이지만 버리기는 뭐한, 그래서 우중충한 창고에 쓸쓸하게 잠자고 있던 물건들. 이런 물건들을 필요한 사람에게 넘겨서 현금화시킬 수 있는 옥션은 나름대로 꽤나 유용했다. 그러나 일반적인 유저들이 보유한 창고 속 외로운 중고 상품들의 양적인 한계로 인해 빠른 성장곡선을 그리지는 못했다. 하지만 옥션이 전환을 맞이하게 되는 부분이 있었으니.. (관점에 따라 다르겠지만) 이 당시 옥션이 의도적으로 키우고, 그래서 결국 옥션을 키우게 한 공동구매였다. 전문적 셀러들의 상품 중에서 경쟁력이 있어 보이는 제품들을 선정해서 약 1주일간의 공동구매 진행하기. 저렴한 가격의 폭발력과 온라인 쇼핑이 접목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