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ltern of Knowledge
블로그 개인이야기가 어때서..? 본문
올블로그에 피드되는 포스트들이 IT 쪽으로 꽤나 편중된 성향이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블로거들의 활동성과 연관이 있는 부분인지라 당분간 어쩔 수 없는 것이라 하겠다. 특히 선동형 블로거, 자가당착형 블로거, 박쥐형 블로거, 입만 살아서 자기 주장만 펼치고 남의 주장은 듣지 않으려 하는 블로거 등이 유달리 강한 활동을 펼치고 있으니 올블로그에서는 이를 강제할 수도 없고 조정할 수도 없는 고민이 있으리라 짐작해 본다. 뭐. 저런 블로거들의 트래픽을 먹고 몸을 키워가는 불가사리가 아니라면 말이다.
그렇다고 이 나라의 많고 많은 블로그들이 모두 IT쪽일 것이냐를 생각해 보면 결국 올블로그가 어느정도는 스스로 선택한 부분도 있지 않을까 한다. 초기 올블로그를 형성한 이용자들 블로그에 익숙한 블로거들. 즉 IT쪽에 관심이 많은 블로거들이 주로 가입을 하고 그런 포스트들이 뜨면서 그 외의 블로거들에게는 거리감을 부여해 줬다 하겠다. 그러니 속칭 신변잡기형 블로거, 아니다. 신변잡기형이라는 말 자체가 조금은 비하적 느낌이 있으니 다른 말로 표현을 해서 생활밀착형 블로거라고 하는 게 좋을 듯 하다. 활동성 측면에서 생활밀착형 블로거들의 포스트는 올블로그 시스템 속에서는 소외될 수 밖에 없지 않았을까?
생활밀착형 블로거들이 쓰는 포스트들은 우리들의 소소한 진짜 삶을 기록하는 측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장을 한다는 측면에서는 공감을 얻어내기에 굉장히 약하다. 텍스트로 정리되어 전달되는 블로그에서 3줄 요약은 통해도 은은한 감정의 아우라(aura)는 코드를 맞추기 어려운 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올블로그의 진입장벽을 넘지 못한 생활밀착형 블로거들은 조용히 그들만의 영역에서 나름대로 로그를 쌓고 있다고 하겠다.
상황이 이런데도 계속해서 올블로그로 대표(?)되고 있는 블로고스피어에 나오는 얘기는 이런 거다.
해외의 블로그들이 주로 전문성을 지닌 글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면 국내의 블로그들은 주로 개인적인 이야기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물론 개인적인 이야기 속에 IT, 정치, 연예, 사회적인 이슈들을 다루기도 하지만 대부분이 개인적인 이야기를 다루는 일기장 형식의 블로그들이다. < from 한국적인 블로그와 해외 블로그의 차이? 中에서 >
조금 아쉬운 마인드다. 해외 블로그들이 주로 전문성을 지닌 글이라는 근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주류라고 얘기한다. 해외라고 해서 생활밀착형 블로그들이 없을까? 아니다. 일반적인 상식으로 생각할 때 전문성이 있는 글보다 수십배는 더 많을 것이다. 다만 국내에서 주로 알려진 해외의 블로그들의 대부분은 다루는 카테고리가 확실한 블로그일 따름이다.
해외의 생활밀착형 블로그는 여기저기서 인용하고 관심을 가질 동기가 약하다. 기본적으로 해당 블로거가 살고 있는 나라와 그 나라의 문화 등의 코드가 우리나라와는 많이 다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한글로 쓰여진 블로그 속에서도 미세한 감정의 아우라를 느끼기 어려운 마당에 영어로 쓰여진 블로그를 보면서 관심을 가진다는 건... 흠...
따라서 명확한 부분들. 즉 IT 등의 확실한 주제에 대한 팩트와 리뷰, 생각 들에 관심을 가지고 인용하는 것이 일반적일 수 밖에 없다. 해외의 블로그를 소개한다고 했을 때 생활밀착형 블로그를 소개하는 것보다 특정 주제를 다루는 블로그를 소개하는 것이 좀더 그럴듯해 보이는 게 사실이다. 이건 국내에서도 마찬가지다. 누군가에게 제한된 수의 블로그를 소개한다면 소개라는 의미에 집중해서 특정 카테고리에 특화된 블로그를 소개하는 게 일반적이다.
자. 그런데.. 내가 관심이 없고 다수가 언급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없다고 생각하는 건 무리가 있다. 숲은 나무가 모여서 이루어지는 것이지 숲 혼자서 존재할 수는 없다. 생활밀착형 블로그, 전문적 성향의 블로그 등등이 모두 모여서 블로고스피어를 만드는 것이다.
경험이 부족하면 경험을 채우기 위해 더 많이 보고 듣고 생각하는 게 어떨까. '아는 만큼 보이고 보이는 만큼 느낀다' 이말은 유홍준 교수가 쓴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에 첫부분에 나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