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블로거 (7)
Saltern of Knowledge
▶ 트위터, 범용 댓글은 어떨까? 댓글을 다른 서비스에서 담당하는 건 최근 국내의 여러 온라인에 대한 제약을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인 듯 합니다만, 그리고 이런 방식의 원격(?) 댓글 컨셉이 가능성이 있을까를 생각해보면 활성화되기는 어렵지 않을까 합니다. 가까운 예를 들어보면 다음 View가 개편을 하면서 Daum 내에서도 해당 글에 대한 댓글을 달 수 있게 처리를 했었죠. 그리고 그 댓글 창을 자신의 블로그에도 달 수 있게 했었던 기억이 나더군요. 오늘 찾아보니.. Daum View 내부의 댓글은 거의 활용도가 없더군요. 해당 글의 하단에 관련글, 추천글, 최신글 리스트를 보여주고 그 밑부분에 위치해 있지만, 그나마 첫번째 탭인 '댓글'보다 두번째 탭의 '누가 추천했을까'를 디폴트로 보여주게 처리해 두었..
▶ 독서 릴레이 결과 Inuit님이 시작하셨다는 '독서란 [ ]이다' 라는 릴레이 결과를 시각화한 페이지입니다. 릴레이의 시작은 첫번째 글을 읽어보시면 아실 수 있는 것이겠고.. 이 시각화 페이지가 나름 재미있군요. 개인이라는 측면으로 본다면 각 블로거의 교류 관계를 알 수 있을 것이고, 블로고스피어라는 측면으로 본다면 이슈의 전파 및 확산에 대한 샘플이 될 수 있겠습니다. ▶ 요즘 인터넷 쇼핑몰, 별별 서비스가 다 있어요 TV에서 보는 옥션과 인터파크의 광고만으로 인터넷 쇼핑몰이 뭔가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느끼셨을리라 생각합니다. 최근 쇼핑몰들이 새로 선보인 나름의 독특한 서비스들을 정리한 기사인데.. 개인적으로 핵심에는 다가가지 못한 기사라고 생각되는군요. 뭐.. 팩트 위주의 기사인지라 심층 분석 기..
대한민국 인터넷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점들의 해결책은 실명제로 귀결된다. 오전 10시 32분교보문고가 태터앤미디어와 블로그 콘텐츠 기반 공동사업을 한단다. 알라딘 Thanks to Blogger와 비슷하기는 하지만 파워 블로거 위주로 진행하려는 듯. 타 인터넷 서점에 비해서 올드하면서 살짝 경직된 느낌이었던 교보문고도 계속해서 조금씩 뛰고 있구나.. 오후 6시 30분중개수수료 및 광고료를 받지 않는 모바일을 통한 가격 비교 중개 사이트 10초닷컴. 인터넷가격은 지도가에 의해 최저가가 통제되는데, 이 가격을 문자로 개개인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더 싸게 한다고. 그리고는 개미 엉덩이를 핣아먹고 산다는군. 음..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 오후 6시 51분블루버드의 BM500이 SKT의 개통불가통보로 인해 생산을..
도량형 표준화의 취지는 이해하지만.. 실제 생활은 많이 어색한 게 현실이다. 이번 도량형 표준화로 인해 2007년 9월 22일에 내한공연 예정인 나인인치네일스는 일십이쩜팔륙센티미터네일스가 되어야 한다니 캐안습. 그 외에도 이런 일들이 실제로 벌어질지도 모르겠다. 오전 11시 49분네이버가 IPTV 서비스로 고심중이라는데, 왜 PC에서 이용하는 웹서비스를 TV에서도 똑같이 구현해야 할까? 아무리 잘 구현해도 이용자는 PC와 비교하며 불편해 할텐데.. 그냥 IPTV의 특성에 맞도록 적당한 수준에서 제한을 걸거나 다른 관점으로 접근하는 게 좋을 듯. 오후 3시 1분앞으로 분명히 나오기는 할텐데 아직까지는 선거법을 위반해서 고발된 블로거는 없는 듯 하다. 그리고 그 블로거는 우리나라 블로고스피어의 초 유명인이 ..
블로거에게도 책임이라는 게 필요하지 않을까라는 식의 얘기만 나오면 마치 블로거에 대한 탄압이라도 하는 것처럼 개떼같이 들고 일어난다. 경험상... 먼저 화내는 쪽이 뭔가 뜨끔하는 게 있어서 그러는 경우가 많더라... 릴렉스.. 릴렉스... 오전 11시 27분관리가 이전되고 서버자원을 갈취하던 스팸블로거를 차단한 후에도 오늘처럼 서버가 죽어버리는 사태가 잦아지면 Tistory 사용자는 어디로 가야할까? 11시 50분 현재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임 오전 11시 58분조사기관 매트릭스의 보도자료 하나 때문에 붉어진 곰플레이어 문제와 진실을 찾기위한 블로고스피어의 노력, 여하튼 아직 확실하지는 않은 이야기이지만 어찌 정치판에서 위장전입은 전입이고 초본은 어떻게 구했냐하고 어찌 이리 비슷할꼬.. 오후 2시 30분이..
최근 발생한 티스토리 방문자 트래픽 급증은 대량 펌 블로깅의 영향 의견에 대해 민윤정 다음 커뮤니티 본부장이 반박을 했다. 그런데 잘 읽어보면.. 방문자 급증이 모두 대량 펌 블로그의 영향.만.은 아니었다는 반박일 뿐이다. 결국 로드밸런싱 못했다는 사실은 변함없잖아? 오전 9시 42분요즘 여기저기서 '양질의 컨텐츠를 생산하는 블로거들'이라는 표현을 자주 본다. 가치관과 관심의 범위가 다른데 양질의 컨텐츠라는 것을 누가 판단할 수 있는가? 또한 컨텐츠를 생산한다는 표현은 블로그를 그저 컨텐츠 생산 공장으로 취급하는 구시대적 시각이 드러나서 껄끄럽다. 오전 11시 3분이 글은 zb5team님의 미투데이 2007년 7월 10일 내용입니다.

던킨 도너츠 이슈를 지켜보면서 블로그와 블로거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제 어느 정도 진정이 된 상태에서 그동안 생각했던 것들을 하나씩 풀어 봅니다. 개인적으로 이번 던킨 이슈는 경희대학교 총여학생회 사건과 어느정도 유사하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당시 경희대 총여학생회 사건에서의 핵심은 '죄가 밝혀지지 않은 교수'에 대해서 죄인 취급을 하고 강한 행동을 취했다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이번 던킨 이슈도 어느정도는 그러하지요. 최초 제보자의 글에 근거하여 던킨에게 죄가 있다고 단정하고, 이러한 근거에 따라 많은 블로거들의 감정적 포스트들이 올라왔지요. 여기에 던킨에서는 포스트 삭제 요청 행동을 취했고, 이러한 던킨의 행동에 따라 블로거들의 감정은 더욱 악화되었다 하겠습니다. 자.. 일단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