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Saltern of Knowledge
야후!코리아가 믿는 건 야후꾸러기 뿐인가? 본문
이상하지요. 야후! 코리아는 나름의 네임밸류를 가지고 있는 게 분명함에도 불구하고 어느 시점 이후 사람들에게 많이 잊혀진 포털 사이트가 된 듯 합니다. 네이버와 다음의 공세에 너무나 힘없이 무너진 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말이죠. 물론 단순하게 네이버와 다음 만은 아니었죠. 중간에 여러 버티컬 사이트들에게도 아낌없이(?) 유저들을 나누어 주다보니 정작 자신에게 남은 유저들이 거의 없게 되었다고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현재의 야후! 코리아의 현실은 대충 이렇습니다. 나름대로 검색지존이었던 야후! 코리아였지만 지금은 검색엔진 파트에서 3위. 그것도 1위와 2위인 네이버, Daum에 비해 UV가 10분의 1 수준인 3위입니다. 그리고 전체 사이트로 따지면 12위 정도로 나오네요. 안쓰러운 건 야후! 코리아보다 상위에 있는 사이트들은 메인이 아닌 타 포털들의 일부분도 포함되어 있다는 겁니다. '네이버 검색', 'Daum 카페', '네이버 카페iN', 'Daum 검색', '미디어다음'이 야후! 코리아보다 더 많은 UV를 보이고 있네요. ('Daum 디렉토리 검색' 을 기준)
그런데 나름 재미있는 게 있습니다. 야후! 코리아가 유달리 강세를 보이고 있는 분야가 여전히 있기는 하다는 거죠. 바로 '야후꾸러기' 입니다. '쥬니어네이버'와 대등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거든요.

야후! 코리아, 색동옷입고 쇼핑을 광고하고 있군요.
그래서 일까요? 야후! 코리아는 야후꾸러기에 나름대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현재도 야후! 코리아의 메인화면에서 폰트 사이즈와 컬러가 다른 유일한 메뉴가 바로 야후꾸러기이며, 세부적으로 들어갔을 때 '동요 파트'는 거의 독보적입니다.
인터넷에서 접할 수 있는 플래시 동요들의 음질은 상당수가 스테레오가 아닌 모노에 고음이 다 뭉개진 조악한 상태입니다만, 꾸러기의 동요는 음질과 플래시 영상이 최상급이라는 거죠. 여기에는 야후! 코리아의 투자가 있었습니다. 직접적 투자인지 간접적 투자인지는 확실치 않습니다만, 2007년 9월에 야후는 꾸러기에 들어갈 동요들을 새롭게 편곡하고 녹음하여 CD를 발매하였습니다. 현재의 야후꾸러기에 들어가 있는 플래시 동요들은 대부분 이 CD의 음원을 활용하였지요.

이 CD는 "감성쑥쑥! 키도쑥쑥! Yahoo꾸러기 추천 동요 베스트 100" 이라는 긴 타이틀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린이를 위한 전문 에듀테인먼트 그룹이라는 '프리즈'가 노래를 불렀습니다.
사실 어린이들을 위한 카테고리에 들어가는 컨텐츠들은 대부분 외부 CP들에 의존하게 되어 있죠. 그래서 쥬니어네이버나 야후꾸러기에는 페이지의 구성과 디자인만 다를 뿐, 똑같은 CP들이 제공하는 똑같은 컨텐츠들이 있는 이상은 아니지요. 똑같은 내용으로 경쟁자를 이길 수 있을까요?

그래서 야후꾸러기 플래시 동요는 캐릭터를 활용한 애니메이션으로만 구성되어 있었는데, 어느덧 저 '프리즈' 멤버들이 직접 등장하는 영상까지 추가가 되었습니다. 한마디로 차별화를 위한 컨텐츠로 승부하겠다는 의도인 듯 합니다. 나름대로 강세를 보이고 있는 부분인 야후꾸러기 만은 절대로 놓치지 않겠다는 것이기도 하겠지요.


하지만 말입니다. 야후!코리아는 야후꾸러기도 좋지만 다른 분야의 차별성을 좀더 가져야 할 듯 합니다. 물론 구석구석을 찾아보면 '짤방공작소'라든가, '춘부장', '글로벌 거기' 같은 나름대로 노력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만, 어필할 수 있는 매력이 많이 떨어지는 느낌입니다. (글로벌 거기 서비스의 부진은 정말 이해하기 힘듭니다. 모 컨퍼런스에서 매년 자신있게 소개하던 모습을 봐와서 일까요? 컨셉이 많이 다르긴 합니다만 오늘 모 사이트에 KAYAK에서 $196million 이라는 거액을 투자받았다는 소식이 있군요.)
한번 뒤처진 상황을 만회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겠지만, 그래도 일정 수준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포기하지는 않겠지요. 그렇다면 앞으로 야후!코리아의 다음 활약을 기대해도 좋을까요?
20 Comments
-
treesung 2008.01.29 14:05 ㅎㅎ
잼있네요. 야후 저도 이제 거의 안쓰다 시피 합니다.
그 이유는 저도 모르고요.
야후 꾸러기 한번 놀러가봐야겠네요.
잘 읽어봤습니다~ -
zerobase5 2008.01.29 15:56 신고 아이가 있다면 주니어네이버와 야후꾸러기는 즐겨찾기 또는 메인페이지가 된답니다. ^^;
-
nkokon 2008.01.29 14:37 새로운 세대에 미리 발도장을 찍어두는 것일까요? ㅎㅎ;
글로벌거기는 최근에 방문해 보았는데 볼꺼리가 없더군요. -
zerobase5 2008.01.29 15:55 신고 새로운 세대에 발도장이라 좋은 표현이신데요 ^^
최근에 다음에서도 유아섹션 Daum키즈짱 이라는 서비스를 지난 11월에 오픈했네요.
관심있으시면 http://blog.daum.net/newdaf/13983069 한번 방문해보세요. -
하늘나라 2008.01.30 10:31 움 글로벌거기? 이런게 있었나... 오늘 첨 보고 함 들어가보았는데 아직 론치한지 얼마 안된 베타지만 아주 특이하고 새로운 컨셉을 시도했더군요 위성지도의 한글검색과 함께 지역별 플리커 사진들은 꽤 볼만한 듯 합니다.글로벌회사로서 해볼만 한일이 아닌가 싶네요. 호텔 맛집 같은 다른 정보가 추가되면 더 좋겠지만
-
지민아빠 2008.01.29 15:16 오픈마루와 제휴 한다고 하던데요. ^^
-
zerobase5 2008.01.29 15:54 신고 단순히 오픈ID와 관련된 제휴로 알고 있습니다.
다음, 야후 등등에 이제 슬슬 퍼져나가고 있군요. -
지민아빠 2008.01.29 16:30 오픈 아이디 기반 '서비스 제휴' 인데요. ^^;
-
zerobase5 2008.01.29 16:32 신고 지민아빠님.. 네 저도 방금 확인했습니다.
오픈마루 서비스를 야후코리아에서 제공하는 형태로 진행되는군요.
일반인이 쓰기에는 약간 어려운 서비스들을 포털에서 어떻게 갈무리 할지 기대됩니다.
단순 오픈ID관련 제휴는 아니군요. 확인도 없이 답글을 달아 죄송합니다. -
neos 2008.01.29 15:36 야후가 어쩌다가 이지경까지 됐는 지 모르겠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요..
예전에 인터넷 초기에는 검색엔진하믄 야후가 최고였는데 말입니다. -
zerobase5 2008.01.29 15:53 신고 저로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야후는 어짜피 디렉토리 서비스에서 출발해서 운영해오던 미디어 중심의 기업이라고 생각하고 있거든요.
최근에는 검색엔진이 많이 좋아지긴 했습니다만 야후가 인기 있던 시절에도 저희는 알타비스타를 이용했었죠.
제 기억속에는 검색엔진으로 야후를 이용하지는 않았네요. -
rose 2008.01.29 15:45 전 야후에서 뉴스를 많이 보는 편입니다. 음 .. naver 보다 걸러내는게 적어서 지난 해 대선 이후로는 야후를 봅니다. 뭐 야후가 좋다기 보다,, naver 가 음 흠.. 다 아시죠? 좀 어용스러워서.. ㅋ
근데 요새 좀 이상한게 야후 매인에 뉴스를 많이 보다보면 가끔 개인화된 뉴스가 나옵니다.. 우후.. 전 스포츠는 안보는 편인데 거의 정치하고 사회 위주로 뉴스가 나오더라구요.. 갠찮았습니다. 첨엔 무슨 버근가 했는데, 아무튼 뭔가 재미있는 것을 하는 모양이더라구요..
다른 나라선 잘 나가나요? 구글이 더 잘나간다고 하던데.. -
zerobase5 2008.01.29 15:51 신고 어짜피 공식입장은 아니신거죠?
약간은 표가 난답니다. -
쿠쿠 2008.02.21 08:11 이분 야후 사람인가 봐요. 냄새가 나요.. 냄새가..
-
zerobase5 2008.02.21 12:17 신고 귀하께서도 좀...
-
떡이떡이 2008.01.29 17:14 최근에 바닥 치고 약간 상승세라던데... 뉴스 쪽은 내부 포상도 받았다고 하더군요.
-
zerobase5 2008.01.29 19:46 신고 호.. 그런가요?
everyfishing님은 모르겠고 저는 최근 업체들의 트래픽이나 이런데 관심을 끊고 있었는데 내부적으로 바닥을 쳤다고 판단하고 있나 보죠? 하긴 나름 뉴스쪽은 경쟁력이 있는 편이죠.
서기자님의 블로그 잘 읽고 있습니다. -
파란토마토 2008.01.30 11:07 아하.. 꾸러기.. 색깔과 글자체 색다른 발견입니다!
-
코코아 2009.07.16 23:44 영어뉴스 보는셈치고 야후닷컴을 검색해 보시면 금방이해갈 듯 합니다. ONE YAHOO 라더군요. 미국 야후나 한국 야후나 홍콩 야후나 똑같이 만들겠다는 이야기지요. 글쎄요.
잘 발단된 한국 인터넷에 적응해도 될등말등한데..잘 될까요? -
김우주 2011.03.28 14:57 감사합니다! 잘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