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언론사닷컴 (4)
Saltern of Knowledge
현재 국내의 포털을 꼽을 때는 네이버, 다음, 네이트. 이렇게 3개 수준으로 끝내는 경우가 많죠. 나머지 포털들은 수치적으로 의미가 없어서 요즘은 그냥 생략하곤 하죠. (슬퍼할 마이너 포털들 몇군데...) 이번에 출처를 밝히기는 어렵지만 우연히 구하게 된 어떤 데이터를 보니 포털들의 뉴스 서비스 쪽이 다른 영역들에 비해서 상당히 치열하더군요. 네이트, 네이버, 다음이 20%~25% 수준으로 큰차이 없이 골고루 UV를 나누어 가고 있더군요. 다음이 오랫동안 미디어 쪽에 공들인 것에 비하면 오히려 낮게 나오고 있다 할 수 있고, 네이버가 뉴스캐스트를 통해 언론사닷컴에게 트래픽을 던져버리는 상황임에도 여전히 충분히 나오고 있으며, 네이트는 꽤 선방하고 있다 볼 수 있는 점유율입니다. 그리고 이상하게 네이트와 ..
얼마 전부터 포털의 뉴스검색 결과의 기본 설정이 최근순이 아닌 정확도순으로 바뀌었습니다. 그에 맞춰서 포털 뉴스검색의 정확도순 결과를 못믿는다는 기사가 등장했네요. 정확도의 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에 결과가 검색 의도와 다르다는 것이 핵심이군요. 아마도 검색결과에 불만을 가지게 되는 것은 상위에 포진한 검색어가 아닐 확률이 높아 보입니다. 최근에 많이 검색된 검색어들은 정확도순의 결과가 잘 나오는 편입니다. 사람들이 많이 검색을 했고, 또 그만큼 최신의 이슈들이고 업체에서 얘기하는 정확도, 즉 랭킹 알고리즘에 잘 부합되는 것들이죠. 다만, 아주 유니크한 검색어라면 관련 뉴스 자체가 많지 않기에 정확도순이라는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어려울 겁니다. 그런데 사실 일반적인 사용자들이야 검색을 하고 검색 결과를 쓰윽 ..
▶ ‘뉴욕타임즈’, CCL 달고 기사 정보 개방 우리나라에서도 가능할까요? 남들의 컨텐츠와 저작권에 대해서는 너그러우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와 저작권에 대해서는 폐쇄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언론사들이 큰 마음을 먹어여 가능하겠지요. 그런데 억지로 가능성을 찾아서 실현이 된다해도 자신들의 필요에 의해 정보 권력을 휘둘러 정보가 왜곡될 수도 있을 겁니다. 특히 정치인, 경제인들은 과거 기사를 묶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일들을 피하기 위해 특정 기사들은 일부러 뺀다거나 말이죠. 숨긴다고 숨겨지겠습니까만은 실수인 척 빼먹은 것들이 있다면 일부러 목적을 가지고 찾아보지 않은 이상 수면 위로는 잘 드러나지 않게 되죠. 노골적이지 않은 적당한 게이트키핑이라고 할 수 있겠죠. ▶ 사전적 정보제공은..
위성 DMB가 SKT 이용자 무료화를 검토 중이란다. 시청자 확보 후 광고 수익으로 전환하겠다는 의미인데, 솔직히 기존 월 11,000원은 너무 비쌌다. 지상파 방송이 재전송되어도 말이다. 서비스의 핵심가치와 상관없이 이용자들의 지불 가능금액에는 심리적 장벽이 있다. (tu미디어 위성dmb 무료화 광고 장벽) 2008-01-09 11:02:11어린 학생에게 신문을 통한 논술학습을 권유하는 기사를 쏟아내고 있는 신문사들의 닷컴 사이트들을 둘러보니 낯뜨거운 성인을 위한 광고를 대부분 보여주고 있다. 이미지가 아닌 텍스트광고라지만 과연 당신의 자녀에게 이 사이트를 자주 방문하라고 할 수 있겠는가? (언론사닷컴 성인광고 신문을통한교육) 2008-01-09 11:29:53옥션이 G마켓과의 차별화 및 경쟁을 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