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오픈아이디 (4)
Saltern of Knowledge
네이버와 다음이 도입해서 진행하고 있는 싱글 사인 온 (SSO) 쇼핑 서비스가 있습니다. 네이버 체크아웃과 다음 쇼핑원이 그것인데요. 기본적으로 사용자들은 한번의 로그인만으로 쇼핑의 마지막 단계인 결제까지 완료할 수 있는 서비스들입니다. 그런데 네이버와 다음의 경우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고 하는군요. 네이버 체크아웃은 네이버 계정으로만 가능한 서비스이고, 다음 쇼핑원은 해당 쇼핑몰과 쇼핑 정보를 연동하는 것이라네요. 쇼핑몰 입장에서는 회원 증가 효과가 없는 네이버 방식 보다는 실제 회원 가입 효과를 볼 수 있는 다음 방식이 더 호감이 가겠죠. 다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여러 쇼핑몰에 가입해야 하는 불편함과 불안함이 있습니다. 특히 요즘처럼 개인정보에 대한 각종 사건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경우에는 더욱더 그..
아주 예전에 외국에서 밀리언달러픽셀닷컴이라는 사이트가 있었습니다. 1픽셀당 1달러에 판매를 했었죠. 총 100만 픽셀을 모두 팔아치우고 100만달러의 현금을 얻었죠. 기간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아직도 해당 사이트는 유지되고 있는 걸 보니 먹튀는 아닌 듯 하네요. (2008년 말에도 치고 빠지는 방법으로 돈을 좀 만졌다고 합니다.) 당시에 국내에서도 완전히 똑같은 컨셉으로 뚝딱 사이트를 열어서 영역을 팔던 업체들이 몇군데 있었던 기억이 나는데요. 아직도 존재하는지는 모르겠네요. 국내에 있던 대부분의 카피 사이트들은 개인이 따라한 것들이어서 영속성이 유지되기 어려웠을 듯 합니다. 그리고 세월은 흐르고 플러.. 또 비슷한 컨셉을 들고 나온 곳이 있네요. 그런데 확실히 뭔가 다른 점을 들고 나왔습니다. '분..
뉴스를 보니 가장 흔한 인터넷 비밀번호는 123456 이라고 하는군요. 예전에는 1111 이나 1234 였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그동안 세상이 변했나 보네요. 이 데이터는 어떤 해커가 비밀번호 3,200만개를 빼내어 분석한 결과라고 합니다. 123456 나 qwerty 처럼 시퀀스하게 정하는 비밀번호에 대한 인식 부족은 회원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업체들이 어느정도 신경은 써줘야 할 부분이겠지만, 기본적으로 개개인이 알아서 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자꾸만 정책적으로 움직이다 보면 결국 공인인증서 처럼 2MB USB 메모리에 저장하는 정책같은 것만 나올테니까요. 그래도 최근 일부 업체들 쪽에서 보안의식이 갖춰져 있지 않은 사용자들에게 최소한의 룰을 제시하는 방식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는 듯하여 다행인..
정확한 사실에 의거하지 않고 남을 음해하면 3대가 죄를 받는다는 듣도 보도 못한 속담을 만들어 내는 넷피아직원분은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후 12시 9분방송통신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도롱뇽의 생물학상 분류'를 얘기하고 '연극은 방송입니까, 통신입니까?'라는 질문까지 했다는데.. 의원이라는 종족들의 머리 속에는 도대체 뭐가 들어있는 걸까? (의원들의 생물학상 분류가 궁금하구나.) 오후 2시 42분이래서 필요한게 오픈아이디인데 과도기도 아닌 첫 시장진입단계인 오픈아이디 자체가 스트레스인것도 사실이다. 오후 4시 25분방송위원회의 검토에 대해서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는 반대하고 나섰다. 한마디로 내 밥그릇에 숟가락 넣는 건 못봐주겠다는 것. 엄밀히 따지면 중소기업이 시작하는 것을 반대하는 게 아니고..